낮은 소비, 금리, 성장, 물가
전세계는 일본 경제와 비슷한 디플레 상황이라고 말하던 것이 엇그제 같았는데
최근 각종 매체에서는
원유
천연가스,
곡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플레를 걱정하고 있다.
경기 좋아지면서 물가가 오르는 인플레 현상이 정상이나.
최근엔 경기 나쁜데 물가 인상으로 가는 스테그플레이션이 아니냐? 하며 걱정을 한다.
물론
물가 급하게 오르면 서민 삶은 고단하다
또한, 금리 오르면 부동산, 주식 자산 가격에 악 영향을 미친다.
지금껏 있어왔던 디플레 요인으로는 3가지가 있다.
1. 인구 구조의 변화로 저출산 고령화다,
의료 기술의 발달로 수명 연장이 되면서 고령화 현상은 늘어난다. 그와 함께 낮은 소비를 유지한다.
2. 인터넷, 글로벌화로 비대면 쇼핑, 국내, 전세계 최저가 구매가 가능해 졌다.
싼 제품을 살 수 있다.
3. 기술 발달(혁신) - PC 성능, 전기차, 배터리 기술 혁신으로 제품 가격이 낮아지고 있다.
제조업체, 자동화 도입
최근 인플레 요인으로는
1. 코로나 업종으로 제조, 물류, 생산 부문에 인력이 줄었다.
2. 대규모 인력부족 사태- 미국 조기은퇴자 늘었다.
3. 에너지 가격 급등 - 신재생에너지/ 그린플레이션/ 에너지 생산 단가 상승했다.
디플레 VS 인플레는 서로 대립해 오고 있는 현상이다.
하지만 최근엔
인플레 압력 높아지고 있다.
5년 이상, 장기적 변화이냐? 그것은 글쎄이다.
단기적 요인이 크다.
경제 수요와 공급 불균형은 언젠가는
인간의 욕망으로 균형점을 찾을 것이다.
"보이지 않은 손" 아담스미스는 이것을 이렇게 말했다.
최근 물가상승 요인
단기적이다. 사이클적인 문제이다.
그러나
디플레 요인은 다르다.
장기적, 구조적 문제가 더 크다
고령화, 인터넷, 글로벌화, 혁신
이것은 거슬를 수 없는 문제이다.
장기적 디플레시대로 가게 될 것이다.
저소비, 저성장, 저금리 시대
우리는 어디에 투자해야 하나?
고성장에 곳에 투자해야 한다.
건전한 장기투자자는
좋은 기업 투자해서 실적에 따른 기업이윤을 나눠가질 것이다.
좋은 기업은 무엇인가?
성장하고 이익을 내는 기업이다.
앞으로 매가트렌드는?
헬스케어
글로벌플레폼,이커머스
혁신기업(테슬라)이다.
시장 출렁일 지라도
기업이 아니다, 우리 마음이 흔들리는 것이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제.자매에 의무상속 44년 만에 사라진다. (0) | 2021.11.21 |
---|---|
PDF파일 합치기, JPG까지 변환하는 프로그램 소개 (0) | 2021.10.27 |
안전자산 달러 투자하는 방법 (0) | 2021.10.16 |
인터넷으로 로또, 연금복권 구매 방법 (동행복권) (0) | 2021.10.15 |
[VLLO블로] 동영상편집/ gif만들기/움짤만들기 (0) | 2021.10.14 |